Computer Science
-
Network - HTTPS & SSLComputer Science/Network 2022. 1. 1. 17:51
HTTP HTTP란? ㆍ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. ㆍ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요청과 응답에 대한 프로토콜이다. ㆍ 암호화되지 않은 방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특징이 있다. 따라서, 악의적인 감청과 데이터가 변조될 가능성이 존재한다. HTTPS HTTPS란? ㆍ 보안이 강화된 HTTP이다. ㆍ 모든 HTTP 요청과 응답 데이터는 네트워크로 보내지기 전에 암호화된다. ㆍ HTTPS는 HTTP의 하부에 SSL과 같은 보안 계층을 제공함으로써 동작한다. HTTPS의 사용 이유 1. 내가 특정 웹 사이트에 보내는 정보를 다른 누군가가 훔쳐보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이다. 2. 내가 접속한 웹 사이트가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인지 판별하기 위해서이다. (기관으로부터 검증된 사이트..
-
Computer Architecture - 캐시 메모리(Cache Memory)Computer Science/Computer Architecture 2021. 12. 24. 16:44
캐시 메모리 캐시 메모리란? ㆍ 캐시 메모리란 속도가 빠른 장치와 느린 장치 사이에서 속도 차이에 따른 병목 현상을 줄이기 위한 메모리를 말한다. ㆍ 캐시 메모리는 아래와 같은 예가 있다. 1. CPU 코어와 메모리 사이의 병목 현상 완화 2. 웹 브라우저의 캐시 파일은 하드디스크와 웹 페이지 사이의 병목 현상을 완화 ㆍ CPU가 주기억장치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올 때,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에 저장한 후, 다음에 해당 데이터를 읽어올 필요가 있을 때 주기억장치가 아닌 캐시 메모리에서 먼저 가져오면서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. ㆍ 캐시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속도라는 장점을 얻지만, 용량이 적기도 하고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. ㆍ CPU에서는 이러한 캐시 메모리가 2~3개 정도 사용된다...
-
Computer Architecture - 중앙처리장치(CPU)의 작동 원리Computer Science/Computer Architecture 2021. 12. 20. 16:38
중앙처리장치(CPU) 중앙처리장치란? ㆍ CPU는 컴퓨터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, 인간의 두뇌에 해당한다. ㆍ 크게 연산장치, 제어장치, 레지스터 3가지로 구성된다. 연산 장치 ㆍ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을 수행하며, 산술 논리 연산장치라고도 불린다. ㆍ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레지스터에서 가져오고, 연산 결과를 다시 레지스터로 보낸다. 제어 장치 ㆍ 명령어를 순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. ㆍ 주기억장치에서 프로그램 명령어를 꺼내 해독하고, 그 결과에 따라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기억장치, 연산장치, 입출력 장치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. ㆍ 또한, 이들 장치가 보낸 신호를 받아 다음에 수행할 동작을 결정한다. 레지스터 ㆍ 명령어 주소, 코드,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 및 연..
-
Computer Architecture - 컴퓨터의 구성Computer Science/Computer Architecture 2021. 12. 20. 15:26
개요 ㆍ 컴퓨터 시스템은 크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나누어진다. 1. 하드웨어 : 컴퓨터를 구성하는 기계적 장치 2. 소프트웨어 : 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시하고 제어하는 명령어 집합 하드웨어 ㆍ 중앙처리장치(CPU) ㆍ 기억장치 : RAM, HDD ㆍ 입출력 장치 : 마우스, 프린터 소프트웨어 ㆍ 시스템 소프트웨어 : 운영체제, 컴파일러 등 ㆍ 응용 소프트웨어 : 워드프로세서, 스프레드시트 등 하드웨어 하드웨어의 구성요소 ㆍ 하드웨어는 중앙처리장치(CPU), 기억장치, 입출력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. ㆍ 이들은 시스템 버스로 연결되어 있으며, 시스템 버스는 데이터와 명령 제어 신호를 각 장치로 실어 나르는 역할을 한다. 중앙처리장치(CPU) ㆍ 인간과 비교하면 두뇌에 해당하는 부분이다. ㆍ 주기억장치에서 ..
-
Network - HTTPComputer Science/Network 2021. 12. 13. 16:03
HTTP HTTP란? ㆍ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www 상에서 사용이 되는 프로토콜이다. ㆍ 1990년대 Tim Berners-Lee가 World Wide Web을 만들고, 하이퍼텍스트 문서들을 주고받기 위한 규약으로 만든 것이 HTTP이다. ㆍ 현재는 문서들 뿐만 아니라 이미지, 비디오, 음성 등 거의 모든 형식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. ㆍ HTTP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요청과 응답을 주고받는 프로토콜로, 우리가 흔히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하는 웹 주소인 URL을 통해 이루어진다. ㆍ 실제 전송은 TCP를 통해 이루어지며 포트는 80번을 이용한다. HTTP 버전 ㆍ HTTP 초기에는 버전 표시가 없었고, 이후 업데이트가 되면서 버전 ..
-
Network - OSI 7 계층Computer Science/Network 2021. 10. 19. 22:16
OSI 7 계층이란? OSI 7 계층의 정의 ㆍ OSI 7 계층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이다. OSI 7 계층을 나눈 이유 ㆍ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. ㆍ 통신의 흐름을 한눈에 알아보기 쉽고,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기 때문이다. ㆍ 7단계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를 건드릴 필요 없이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치면 되기 때문이다. OSI 7 계층 ㆍ OSI 7 계층은 위 사진과 같이 응용, 표현, 세션, 전송, 네트워크, 데이터링크, 물리 계층으로 나누어진다. 계층별 역할 1 계층 - 물리 계층 ㆍ 물리 계층은 주로 전기적, 기계적,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통신 케이블로 전송을 하는 역할이다. ㆍ 물리 계층에서 사용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