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Git - Git 기본기 (init & add & commit)
    Git/Git 기초 2022. 1. 3. 20:04

    Git 기본 명령어

    Git 저장소 생성
    git init

    로컬 저장소로 사용할 폴더를 생성한 후 해당 폴더에서 "git init" 명령어를 실행하면 새로운 저장소가 생성된다.

   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저장소 구성을 위한 .git 폴더가 생성되며, 이 폴더에는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파일들과 해당 프로젝트에만 적용할 config 파일 등이 들어있다.

     

    파일 상태 확인
    git status

    "git status" 명령어를 사용해 현재 저장소 내 파일들의 상태를 확인해 볼 수 있다.

     

     

    "git status" 명령어를 통해 현재 저장소에 "test01.txt" 파일이 추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.

     

    인덱스에 파일 추가

     

    Git은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.

     

    작업 폴더(Working Directory) -> 인덱스(Staging Area) -> 저장소(Head/Repository)

     

    우리가 작업하는 폴더를 작업 폴더(Working Directory)라고 부르며, commit을 실행하기 전에 작업 폴더와 저장소 사이에 존재하는 가상의 준비 영역(Staging Area)을 인덱스(Index)라고 한다.

    저장소에 commit 하기 위해서 먼저 추가(Untracked files) 및 변경(Modified files) 하고자 하는 파일을 인덱스에 기록하고 이후 스테이징 된 목록만 최종적으로 commit 명령어에 의해 저장소에 공개하게 된다.

     

    git add .

    위 명령어를 사용해서 작업 폴더(Working Directory) 상의 모든 변경 내용을 인덱스 영역(Staging Area)에 추가할 수 있다.

     

     

    추가하려는 파일이 많을 경우 위 사진과 같이 "git add ." 명령어를 이용하면, 해당 폴더의 Untracked files 모두를 한 번에 스테이징 하는 것이 가능하다.

     

     

    "test01.txt" 파일을 인덱스에 스테이징 한 후 상태를 확인해본다. 위 사진을 보면 "test01.txt" 파일이 인덱스에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     

    변경사항 확정
    git commit -m [설명]

    마지막으로 "git commit -m [설명]" 명령어를 실행하여 인덱스 내 파일들을 HEAD에 적용할 수 있다.

     

     

    위 사진과 같이 "test01.txt"을 HEAD에 적용시킨다.

     

    커밋 히스토리 조회
    git log

    위 명령어를 이용하여 저장소의 히스토리를 조회할 수 있다.

     

     

    commit 후 "git log" 명령을 실행해보면 저장소의 히스토리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
     

    728x90

    'Git > Git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Git - rebase  (0) 2022.01.06
    Git - merge  (0) 2022.01.04
    Git - branch  (0) 2022.01.04
    Git - Git 상태 복구 (reset & reflog & amend)  (0) 2022.01.04
    Git - Git의 3가지 영역  (0) 2022.01.03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